BBB
BBB(Blood-Brain Barrier)는 뇌를 유해한 물질이나 병원체로부터 보호하며, 신경계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는 뇌 모세혈관의 내피세포들이 매우 밀접하게 결합되어 있어 대부분의 물질이 뇌로 쉽게 통과할 수 없도록 합니다. 주로 BBB는 산소, 포도당, 일부 지용성 약물 등 필요한 물질만을 통과시킵니다. 대부분의 큰 분자나 수용성 약물은 BBB를 쉽게 통과하지 못합니다.
하지만, 종종 뇌 또는 중추신경계(CNS)에서 작용해야 하는 필요한 약물 성분, 예를 들어 항우울제, 항경련제, 항암제 등은 BBB를 통과할 수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BBB 침투 능력은 이러한 약물의 치료 효과에 있어서 매우 중요합니다. 이에 따라, 신경계에 도달해야 하는 약물을 설계할 때, BBB 침투성을 높이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이는 약물의 지용성 증가, 특정 수송체 이용, 또는 BBB 투과를 증가시키는 첨가물 사용 등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중추신경계에서 작용하는 약물은 분자 표적에 도달하기 위해 BBB을 통과해야 하지만, 반대로, 말초 표적을 가진 약물의 경우, 중추신경계 부작용을 피하기 위해 BBB 침투가 거의 필요하지 않거나 전혀 필요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연구마다의 단위 또는 의미가 다를 수 있지만, ADMET lab 기준으로 의미를 해석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 BBB 침투의 단위는 cm/s입니다.
- logBB > -1인 분자는 BBB+ (Category 1)로 분류되고, logBB ≤ -1인 분자는 BBB- (Category 0)로 분류됩니다.
- 출력 값은 BBB+일 확률을 나타내며, 범위는 0에서 1까지입니다.
참조
wiki
https://admetmesh.scbdd.com/static/explanation/files/Explanation.pdf
'약리학 > ADMET paramet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Distribution] PPB (0) | 2024.08.07 |
---|---|
[Distribution] VDss (0) | 2024.08.07 |
[Distribution] OATP1B1 & OATP1B3 Inhibitor (0) | 2024.08.07 |
[Distribution] MRP1 Inhibitor (0) | 2024.08.07 |
[Distribution] BSEP Inhibitor (0) | 2024.08.07 |